전체 글(107)
-
5/25 느낀점
- 맹목적인 삶을 살지마라 주체적인 삶을 살아라 망하더라고 하고싶은 거, 돈을 못 벌더라도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사는게 좋다 - 내 스스로 강한 확신이 있어야한다. 나는 나를 과신하는 경향이 있었다. 주식하면서 그것이 좋지않은 버릇이라 느껴 최대한 타인의 의견을 수용하다보니 개소리고 뭐고 다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예전의 나로 돌아가겠다. 개소리는 듣자말자 개소리로 치부한다. 어차피 그거 듣고 안바뀔 새끼다 나는. 내가 느끼고 바뀌는거지. 그리고 내가 똑똑하다는 사실을 전제하고 대화하겠다. 그러면 내가 내리는 대부분의 판단이 맞아야 할거고 그러면 나도 뭘 하든간에 좀 신경을 써야한다. - 잡념은 좋지않다. 확실히 잡념에 빠지면 번뇌가 온다. 그냥 내가 풀고 싶은 문제 한개를 생각하던 유튜브처럼 뇌뺄 수 ..
2023.05.25 -
[MySQL] 기본 문법 정리( 생성부터 crud까지 )
create database TCP; use TCP; create table reservation( ID int, name varchar(30), ReserveDate date, RoomNum int ); create table Customer( ID int, Name varchar(30), Age int, Address varchar(20) ); insert into customer values(1,'ㅇㅇ',22,'서울'); select name from customer; alter table customer add test int; drop table customer; select * from customer; -- alter --> 바꾸다 라는 뜻. /* drop database database명 ..
2023.05.23 -
[MySQL] MySQL 개념정리
# sql 기능에 따른 분류 # 데이터 정의어 (DDL) # 테이블의 관계의 구조를 생성하는데 사용 # create alter drop (생성,삭제 등) # 테이블 조작어(DML) # 테이블에 데이터를 검색하고 삽입 수정 삭제하는데 사용 # select inset delete update 테이블이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오거나 데이터를 삭제 # (delete와 drop은 다른 것이다, 안에 데이터를 삭제하느냐 테이블이나 db자체를 삭제하느냐의 차이)하거나 수정 # 데이터 제어어(DCL) # 데이터의 사용 권한을 관리하는데 사용 # Grant revoke문 # SELECT : 질의 결과 추출되는 속성 리스트를 열거한다. (어떤 칼럼을 갖고 올건지, 가지고 올때 중복을 제거할것인지 등의 여러가지 속성을 부여..
2023.05.23 -
[GitHub] 하나의 저장소로 여러 폴더, 사용자가 커밋하는 방법
개발에 처음 발을 들였을 때 github에 대해 알게 됐을 때 내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어떻게 여러 사람이 한 번에 하나의 저장소에 업로드하지?' pull을 하고 push를 하라, pull이 안되면 이렇게 해라~ 등의 해결책등을 써봐도 나는 동일한 폴더에서만 commit이 됐고 각기 다른 폴더에서는 commit 할 수 없었다(즉 git init이 실행된 폴더가 아니면 push하지 못한다는 뜻). 그 때는 포기헀으나 지금은 해결한 그 문제에 대해 얘기해보려한다. 그 전에 GitHub의 Repository의 구조에 대해 먼저 알아보자. push는 fetch와 merge 두 가지 과정이 합쳐진 명령어이다. fetch는 현재 나의 로컬 저장소로 원격 저장소의 commit 내용을 가져오는 것이다. 즉 원격저..
2023.05.12 -
[JavaScript] DOM Element란?
목차 1. DOM Element란? 2. Element에 접근하는 다양한 방법 1. DOM Element란? JavaScript에서 우리는 HTML과 CSS로 스타일링이 적용된 텍스트를 작성하고 레이아웃을 만들었다. 이때 JavaScript를 통해 작성한 HTML파일과 CSS파일의 속성을 바꿀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고 이를 위해서는 Element 타입의 객체가 필요하다. Element는 정확히 말하자면 DOM(Document Object Model)로 DOM은 하나의 인터페이스라고 생각하면 되고 그 하위 요소로 태그에 해당하는 다양한 Element가 존재하게 된다. Element 객체는 html파일에 작성한 열린태그부터 닫힌 태그까지 전체 내용을 값으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주의해야할 것은 Strin..
2023.05.04 -
[JavaScript] JavaScript property란?
목차 1. JavaScript에서 property의 개념 2. Property 접근법 3. Property 출력 예제 (for in, for of 활용) 1. JavaScript에서 Property의 개념 JavaScript에는 Java와 마찬가지로 객체를 생성할 수 있고 클래스가 존재한다. 다만 문법부터 시작해 자료 구조의 형태가 Java와는 다른 점이 몇몇 있다. 오늘은 그 중 객체의 속성을 나타내는 property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다. property는 직역하면 '속성'이라고 부른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객체의 속성을 저장하고 있는 하나의 공간이다.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생성하게 되면 모두 property형태를 띠고 있다 property는 {key : value}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아..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