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Git(3)
-
[Git] "fatal: could not read username for no such device or address" 해결
Colab에서 모델 학습을 위한 프로젝트 clone 도중 마중한 에러이다.내로라 하는 방법은 모두 시도해보았으나 다 실패하였다. 1. osxkeychain -> 애초에 colab 실행 환경이 osx가 아니어서 그런지 명령어 실행이 잘안됨2. git config 설정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_name}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역시 설정 이후에도 같은 에러 발생 3. git remote origin 명시적 설정git remote add origin https://{username}:{password}@github.com/{username}/project.gitgit remote set-url origin https:/..
2024.11.20 -
Git stash로 다른 브랜치에 로컬 변경사항 옮겨서 적용하기
작업을 하다보면 내 로컬의 히스토리가 이상하게 꼬여있거나 혹은 로컬에서 브랜치를 바꿔서 작업하다가 그 사실을 잊고 변경사항을 만들어버렸을 때 커밋은 하지 않고 변경사항을 그대로 가지고 다른 브랜치로 이동하고 싶을 수 있다. 이럴때는 git stash를 이용하면 된다. git add . 한 상태라면 변경사항이 적용돼있다. git stash는 로컬의 변경사항을 인식해야지만 그 변경사항 그대로 임시적으로 저장해놓을 수 있다. 따라서 git add를 해서 git status로 변경사항을 감지하지 못하고 있다면 git reset을 입력하면 변경사항을 add하지 않은 상태로 다시 돌릴 수 있다. 그러나 git add . 도 하고 git commit 까지 날린 상태라면 다음과 같이 commit을 날려야한다. git ..
2023.11.22 -
[Git] fast forward, rebase, merge, pull, checkout, switch, HEAD 등에 대한 개념
Git을 사용할 때 pull을 시도할 경우 자주 보게 되는 fast forward는 무엇일까 예전에 git을 처음 공부할 때 배웠던 개념에 더해 추가적인 정리를 하고자한다. https://goldfish2679.tistory.com/33 [Git] Git 다른 브랜치에서 pull 하기 같은 remote에 서로 다른 branch가 있다고 했을 때 branch에 내용은 서로 다를 것이다. 이 때 다른 branch에 commit하기 위해서는 remote 저장소에 있는 것을 당겨오는 pull을 진행해야 하는데 pull이 되지 않 goldfish2679.tistory.com * 글을 읽기에 앞서 필자의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비유와 함께 설명하므로 참고할 것 1. fast forward 나무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
20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