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JavaScript(10)
-
Javascript try-catch 동작 원리, return과 error의 차이점
우선 try catc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return과 throw가 어떤식으로 동작하는지 알아야 한다. return과 throw는 무슨 차이일까? return err를 하게 되면 말 그대로 catch문에서 반환하는 값을 부모메서드에게 결과값으로 돌려주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부모메서드의 변수값에서 결과값을 받고 해당 값의 error 프로퍼티가 false인지 true인지를 통해서 다른 로직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throw err를 하게 되면 부모메서드에서도 에러가 전파되기 때문에 try catch문을 써줘야한다. 이를 에러 버블링이라 한다. DOM객체의 이벤트 버블링과 유사한 개념이다. 상황에 맞게 쓰면 될듯하나 return을 사용하는 것이 좀 더 편하고 직관적일 듯하다. 에러를 하나의 메서드(..
2023.11.20 -
[Javascript] Spread 연산자 (Spread Operator), 구조분해할당(Destructuring Assignment)
- Mozila Docs 참고 https://developer.mozilla.org/en-US/docs/Web/JavaScript/Reference/Operators/Spread_syntax Spread syntax (...) - JavaScript | MDN The spread (...) syntax allows an iterable, such as an array or string, to be expanded in places where zero or more arguments (for function calls) or elements (for array literals) are expected. In an object literal, the spread syntax enumerates the pro..
2023.10.29 -
[Javascript] async와 await, Promise 객체 등등의 개념 정리
- async와 awiat는 무엇인가? async는 asynchronize의 줄임말으로써 비동기를 나타내는 말이다. synchronize는 동기화하다 라는 뜻이다. 컴퓨터 용어에서 동기와 비동기의 구분은 하나의 프로세스(스택)를 실행하면서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가능하게 할 것인지 결정하는 요소이다. 그래서 async와 await의 개념에 대해서 알기 위해서는 비동기와 동기의 개념부터 이해해야한다. 이 부분은 내가 기존에 알고 있던 개념이라 생략한다. 그렇다면 어떨때 async를 사용하고 await를 사용해야할까? RESTful API를 호출할 때는 상식적으로 비동기로 처리해야한다. 왜냐하면 데이터를 요청했을 때 요청하는 동안의 프로세스가 그쪽으로 잡혀있으면 클라이언트는 요청 응답이 오기 전까지 아무것도 못..
2023.10.29 -
Node.js, npm, npx, Express.js, React.js, TypeScript 등의 간단한 개념 정리
Node의 사전적 정의는 Jacscript를 서버에서 실행하기 위한 런타임 환경이라고 한다. 우선 여기까지만 이해하고 넘어간다. npm(Node Package Manager) : 말 그대로 python의 pip, mac의 brew, ubuntu의 apt와 같은 패키지 관리자이다. npx() : npx는 그냥 단순하게 npm 패키지 실행기와 같다고 한다. NPX는 Npm 버전을 5.2.0 이상으로 설치할 경우 자동으로 설치된다고 한다(node를 설치하면 npm이 설치되듯이?) Express.js : javascript에서 백엔드의 역할을 담당하는 프레임워크이다. Java의 Spring과 비슷한 개념이다. 정확히 말하면 Node위에 express로 작성된 js파일이 얹혀져서 실행되는 느낌이다. React.j..
2023.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