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Tree 로컬 저장소와 원격저장소 연동하기 (feat. Remote Repository Not found / 토큰등록)
2023. 11. 7. 22:55ㆍ프로그래밍
SourceTree를 이용해 github 협업을 진행하던 중 원격저장소의 변경사항을 패치할 수 없는 문제가 생겼다.
패치하려고 할 시 Repository not found 에러가 발생했다.
추측하기로는 단순히 원격저장소의 경로만 remote로 추가해뒀기 때문인 것 같았다.
원격저장소의 변경사항을 그때 그때 확인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토큰이 필요했다.
이 글에서는 토큰 발급 방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1. github에서 프로젝트를 clone한 후에 해당 프로젝트의 루트 디렉토리를 저장소로 추가한다.
2. 페치시에 에러가 발생한다면(발생하지 않으면 다행이고 필자의 경우에는 어떤 이유에선지 발생함) 원격 저장소의 정보로 내 토큰을 기반으로 한 url을 새로 추가해준다. (우측 상단 설정 -> 원격 탭 -> 추가 ,, 아마 기존에 clone한 url이 있을 것인데 토큰 등록 후에 해당 url은 제거한다.)
원격 이름 : remote를 나타내는 명시적인 네이밍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default는 'origin'으로 설정돼있다. origin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
URL / 경로 : clone하듯이 단순히 url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입력한다.
https://{your token}@github.com/your project root
ex) https://abcdefg@github.com/test/testProject
이렇게 추가한 후에 페치 시에 정상적으로 원격저장소와 연동된다.
'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504 Gateway Timeout Error (0) | 2024.11.11 |
---|---|
AWS에 node 배포 후 mysql 설치 (0) | 2023.11.16 |
사내 코드 리뷰를 통해 알게된 점 및 개선점 (0) | 2023.10.30 |
[github] GitHub 여러개의 브랜치로 분기시키는 법 (0) | 2023.08.28 |
[Oracle] 맥북 사용자 SQL Developer IO오류 발생 시 (0) | 2023.07.04 |